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Bloomberg)과 로이터통신(Reuters)에 따르면, 대만 협상 대표단을 이끄는 정리쥔 부행정원장은 “미국이 필요한 반도체의 50%를 미국에서 생산하겠다는 아이디어는 미국 측에서 나온 것”이라며 “우리 협상팀은 그런 약속(commitment)을 한 적이 없고, 이번 라운드에서 그 문제를 논의하지도 않았으며 그런 조건에 합의할 수 없다”고 이같이 밝혔다.
이는 미국 측에서 제기된 ‘미·대만 반도체 생산 50:50’ 구상에 대한 공식 반박으로 해석된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뉴스네이션과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이 반도체 생산에서 과도한 해외 의존에 따른 위험을 줄여야 한다며 미국과 대만이 첨단 반도체 생산능력을 50대 50으로 분할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 기업들이 해외 생산과 미국 내 생산을 1대1로 맞출 경우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대만은 자국 내 첨단 공정 집적과 공급망 안정성을 근거로 생산 이전 요구에 선을 그었다.
미국 내 투자 확대 기조는 유지하되, 생산 비중의 기계적 분할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대만의 대미 수출에는 8월부터 상호관세 20%가 적용되고 있으며, 반도체 품목은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진행에 따라 별도 협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선 “미국의 ‘1:1’ 혹은 ‘50%’ 요구가 현실화할 경우, 대만 주도의 첨단 공정 클러스터와 글로벌 공급망 재배치에 큰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대로 대만의 강경한 톤이 유지될 경우, 향후 협상 테이블에서 관세·투자 인센티브·공급망 안전조항을 둘러싼 ‘조건부 절충’이 불가피하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