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일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의 ‘AI의 확산과 산업·기업의 성과’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과 AI지수 간 상관계수는 지난 2016~2019년 0.79에서 2020~2024년 0.54로 낮아졌다.
반면 서비스업 생산의 상관계수는 0.88에서 0.93으로 높아져 제조업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펜데믹 이후 제조업의 AI 성과가 서비스업 대비 부진한 것을 의미한다.
AI지수는 뉴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체 기사 중 AI 관련 기사의 월별 상대빈도를 통해 AI 기술에 대한 관심 및 확산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대한상의는 이를 산업생산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AI 확산의 기업 차원 재무성과 차이를 비교했다.
보고서는 외부감사 대상기업 중 3만2240개 기업을 대상으로 ‘AI 관련기업’과 ‘비AI 기업’으로 구분해 재무적 특징을 비교했다.
비교 결과 지난해 기준, 제조업 중 ‘AI 관련기업’의 전년 대비 매출액 증가율은 0.9%, 순이익 증가율은 –2.3%로 ‘비AI 기업’(매출액 1.8%, 순이익 4.6%) 대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비스업에서는 ‘AI 관련기업’의 매출액이 5.0%, 순이익이 18.9% 증가해 ‘비AI 기업’(매출 3.1%, 순이익 3.5%)보다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재무 안정성 측면에서는 AI 관련 기업이 비AI 기업 대비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제조업 AI 관련 기업의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이 99.1%로 비AI 기업(52.9%) 대비 크게 높았다.
보고서는 “AI 관련 기업은 AI 도입 및 제품 생산을 위한 초기 투자 비용이 상대적으로 크고 성과가 수익으로 나타나기까지 시차가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서비스업은 인건비나 마케팅 비용 절감 등에서 AI 도입 효과가 비교적 빠른 시일 내에 나타난다”면서도 “제조업의 경우 원자재·에너지 등의 투입 비중이 커 초기에 AI 도입의 비용 절감 효과가 제한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부연했다.
민경희 SGI 연구위원은 “제조업에서의 AI 도입 효과는 아직까지 직접적인 매출 증가보다는 불량률 감소 등 간접적인 성과로 나타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보고서는 제조 AI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적극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데이터 축적·활용이 가능한 플랫폼 구축 및 초대형 컴퓨팅 인프라 등 패키지 지원을 통해 기업들의 진입장벽을 낮출 것과 ‘국민성장펀드’와 같은 공공·민간 자금을 결합한 안정적 자금조달 체계를 갖출 것도 제언했다.
이와 함께 AI 데이터센터 등의 운영을 위해 안정적 에너지 공급체계를 갖출 것을 제시했다.
박양수 SGI 원장은 “제조 AI의 성과가 아직 가시화되지 않았다는 것은 곧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의미”라며 “제조 AI 전환에는 시간이 걸리는 만큼 주요국보다 빨리 역량을 집중해 주도권을 선점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산업분야 AI 투자 활성화를 위해 금산분리 등 규제 완화 검토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지난 1일 이 대통령이 샘 올트먼 오픈 AI CEO와 만남을 가진 후 이같이 발언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독점의 폐해가 나타나지 않는 범위에서, 또 다른 영역으로 규제 완화가 번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마련된 범위 내에서 현행 규제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김 실장은 “금산분리 완화는 논쟁적 사안인 만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각 나라의 전략산업에 있어서는 새로운 시대환경에 맞춰 (규제를) 재검토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생각도 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