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8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2020년 9월 대비 22.9%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16.2%)보다 약 7%포인트(p) 높은 수준이다.
품목별로 보면 과일(35.2%)과 우유·치즈·계란(30.7%)은 5년 전보다 30% 이상 가격이 올랐으며 특히 빵(38.5%), 케이크(31.7%), 떡(25.8%), 라면(25.3%) 등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또한 과자, 아이스크림, 설탕 등 ‘당류 및 빙과류’도 27.8% 상승했다. 아울러 고춧가루·참깨 등이 포함된 기타 식료품(21.4%), 육류(21.1%), 어류 및 수산(20.0%)은 평균보다는 다소 낮았으나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비주류 음료 중에서는 커피·차·코코아가 38.2% 올라 가장 큰 폭의 상승을 보였으며 생수·청량음료·주스류도 22.7% 인상됐다. 반면 주류와 담배는 5.0% 상승에 그쳤으며, 주류만 따로 보면 13.1% 올랐다.
식료품 외에도 생활에 밀접한 품목들의 물가도 크게 올랐다.
‘음식 및 숙박’은 24.8% 상승했으며, 특히 외식 비용을 의미하는 ‘음식 서비스’는 25.1% 증가했다. 이는 식재료 가격 상승이 외식 비용에 그대로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비누, 샴푸, 미용료 등을 포함한 ‘기타 상품 및 서비스’는 24.1% 상승했고, 세제나 청소용품, 가사 서비스 등이 포함된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도 19.4% 올랐다.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는 16.7%, ‘의류 및 신발’은 16.2% 상승해 평균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반면 ‘교통’ 부문은 15.9%로 평균보다 다소 낮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