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8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2024년 시도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따르면,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모두 국어·수학·영어 교과에서 보통 이상 학력(3수준 이상)을 가진 비율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중3과 고2 학생 중 약 3%를 표본으로 선정해 국어·수학·영어 과목의 학업 성취도를 측정하는 제도로, 매년 시행되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전국 524개 학교에서 2만7606명의 학생이 평가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먼저 중3의 경우, 국어 과목에서 보통 이상 학력을 보인 학생의 비율은 2020년 75.4%에서 2024년 66.7%로 8.7%포인트(p) 하락했다. 수학은 같은 기간 57.7%에서 48.6%로 9.1%p, 영어는 63.9%에서 61.2%로 2.7%p 각각 감소했다.
고2도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국어는 69.8%에서 54.2%로 무려 15.6%p 하락했으며 수학은 60.8%에서 57.2%로 3.6%p, 영어는 76.7%에서 72.4%로 4.3%p 각각 감소했다.
특히 중3 국어 기초학력 미달률은 2020년 6.4%에서 2024년 10.1%로 3.7%p 증가했으며 고2 국어 미달률도 6.8%에서 9.3%로 2.5%p 상승했다.
이에 대해 진선미 의원은 “국어에서 기초학력 미달 학생이 늘어난 것은 다른 과목 학습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기초학력 보장 제도를 보다 체계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