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현지시간) 미국 최대 추자은행 JP모건체이스는 3분기 순이익 143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수준이다.
주당 순이익은 5.07달러로,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4.84달러를 상회했다.
특히, 수수료 이익과 시장 관련 수익이 급증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투자은행(IB) 부문 수수료 이익은 기업의 M&A가 활발해지며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시장 관련 수익도 거래량 증가에 힘입어 25% 증가한 89억달러를 기록하며 3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최고경영자(CEO)는 “고용 증가를 중심으로 일부 둔화 조짐이 있었으나, 미국 경제는 일반적으로 회복력을 유지했다”면서도 “그러나 복잡한 지정학적 상황과 관세 및 무역 불확실성, 높은 자산 가격 및 고착화된 인플레이션 위험으로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골드만삭스, 시티그룹 등 주요 은행도 3분기 시장 전망을 훌쩍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
골드만삭스는 이날 실적 보고서를 통해 3분기 순이익이 41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고 밝혔다. 주당 순이익은 12.25달러로, LSEG의 전망치(11달러)를 상회했다. 이는 투자은행 수수료 수익이 전년 대비 42% 급증한 26억6000만달러를 기록한 영향이다.
시티그룹도 3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38억달러를 기록했다. 주식과 채권 트레이딩 부문에서 시장 전망을 상회하는 56억달러의 이익을 벌어들이며 실적을 견인했다.
제인 프레이저 시티그룹 CEO는 “신규 상품과 디지털 자산, 인공지능(AI) 투자가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이끌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미국 주요 대형 은행들은 올해 3분기 자사주 매입 규모를 두 배 가까이 확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 통신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미 4대 은행(JP모건체이스·골드만삭스·씨티그룹·웰스파고)은 올해 3분기 210억달러(약 3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약 83% 증가한 수준이다.
미국 대형 투자은행들의 자사주 매입 확대정책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자본규제 완화 기조와 맞닿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현재 연준은 보조적 레버리지비율(SLR) 규제를 완화하고 있으며,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제안된 자본규제안에 대해 재검토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난 6월 연례 스트레스테스트 시나리오에서 자산가격의 하락폭이 축소된 결과 대형은행들의 요구자본비율이 낮아진 상황이다.
미셸 보우먼 연준 이사는 이날 진행된 국제금융협회(IIF) 행사에서 “스트레스테스트 제도 개선을 위해 단계적 제안들을 추진 중”이라며 “약 일주일 내에 새로운 개선안을 추가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