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025 국정감사]
노 대사는 20일 상하이총영사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한중 협력과 새로운 관계의 발전을 위해선 우호 정서의 함양과 증진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근거 없는 음모론에 기반한 과격 행위에 대해서는 엄중히 생각하고 조치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홍 의원은 “중국이 우리 선거에 개입했다는 등 사실과 다른 주장을 근거로 한 혐중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 같은 방식의 반중 표현은 한중 관계 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인 관광객 비자 면제 조치로 범죄자가 유입된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노 대사는 “국내에서 불법 체류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으로 안다”며 “실제 불법 체류자는 감소 추세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범죄에 대해서도 입국 중국인들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필요한 단속 조치를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김영준 상하이총영사는 “양국 관계에서 인적 교류와 호감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단체관광객 비자 면제 정책은 인적 교류를 활성화할 핵심 제도이며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노 대사는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 상황과 관련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계획이 논의 중”이라며 “행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중국 측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은 “시 주석의 11년 만의 국빈 방한 추진이 무산된 것으로 안다”며 “가장 큰 원인은 최근의 혐중 시위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노 대사는 또 김기웅 국민의힘 의원이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 주장에 대한 입장을 묻자 “남북은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관계”라며 “북측의 주장에 동요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이 이른바 ‘두 국가론’을 묵인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중국의 한반도 정책은 연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후덕 민주당 의원이 “주중대사를 맡으면 정치권 진입 절반은 한 셈인데, 정치할 생각이 있느냐”고 묻자 노 대사는 “그럴 생각이 없다”고 답했다. 노 대사는 1992년 한중 수교를 이끈 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남이다.
한편, 주중한국대사관은 한국 경찰청과 중국 공안당국이 최근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확산 중인 보이스피싱 범죄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중국 내에는 12명의 경찰 주재관이 파견돼 있다.
강기중 주중대사관 경무관은 “중국 공안과 경찰청이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범죄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며 “베트남·캄보디아 등과 함께 설립된 국제기구를 통해 공조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보이스피싱이 자주 발생하는 산둥성 등지에 경찰 연락관을 추가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