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봉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1일 통일연구원이 공개한 ‘KINU 통일의식조사 2025’에 따르면, 연구원이 지난 7월 10일부터 8월 1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51%가 통일이 불필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은 2021년 55.4%, 2022년 53.4%, 2023년 53.9%, 2024년 52.8% 등으로 절반을 넘겼으나, 올해는 49%로 연구원의 통일인식조사가 시작된 이래 최저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모든 세대에서 통일에 대한 필요성이 줄어들었으며, Z세대가 46.0%, 밀레니얼세대가 38.0%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원은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 남북관계 단절 지속, 국내 정치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동한 결과”라며 “통일에 대한 인식이 단기적 변동을 넘어 구조적 변화의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분석했다.
특히 남북한이 전쟁 없이 공존한다면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평화적 공존’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3.2%가 동의, 17.2%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평화적 공존에 대해서는 최근 몇 년간 동의 비율이 50% 후반대를 유지하다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반대 비율도 20%선을 유지했으나 올해 17%까지 하락했다.
연구원은 “올해 들어 남북 대화·교류가 끊어진 상태에서 군사적 긴장 누적으로 전쟁 발발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인식하게 된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금처럼 남북한이 분단된 상태로 지내는 것이 낫다는 ‘적대적 공존’에 대해서는 47.0%가 동의, 25.3%가 비동의했다.
이는 북한의 위협이 일상화됐지만 즉각적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버틸만 하다’라는 인식이 확산됐으며 불확실한 변화보다 현상 유지가 낫다는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에 대한 관심도 줄어들고 있는 것도 통일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에 대해 관심이 없다’고 답변한 비율은 2015년에 50.8%에서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으며 올해는 68.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북전단 및 확성기 방송에 대해서는 찬성한다고 답변한 비율은 20.1%, 반대한다고 답변한 비율은 61.0%였다.
특히 반대 비율은 지난해 44.0%에서 17%p 증가했는데, 이는 윤석열 정부가 북한에 무인 드론을 보내 남북 간 군사적 갈등을 유발하려 했다는 보도가 이어지면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된다.
남북정상회담 재개와 관련해서는 찬성이 69.4%, 반대가 30.6%를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