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3일(현지시간) 숀 더피 미 교통부 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모든 공역을 닫을 것”이라며 “사람들의 이동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더피 장관은 “아직 그 정도 수준은 아니지만 이미 상당한 지연이 빚어지고 있으며, 항공관제 시스템의 리스크가 현저히 커졌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이번 셧다운으로 인해 항공운항을 관리하는 연방항공청(FAA) 인력의 대규모 공백이 발생했다. 현재 근무 중인 항공관제사는 약 1만3000명으로, 목표 인력보다 3500명가량 부족한 상태다. 이들은 ‘필수 근무 인력’으로 분류돼 급여 없이 근무를 이어가고 있다.
인력 부족과 무급 근무가 장기화되면서 현장에서는 초과 근무와 주 6일 근무가 일반화됐다. 일부 관제사들이 휴가나 병가를 내면서 결근이 잦아지고, 이로 인해 주요 공항의 항공편이 줄줄이 지연되거나 결항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하루 동안 미국 전역에서 항공편 6200편이 지연되고 500편이 결항했다.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JFK), 시카고 오헤어, 애틀랜타 하츠필드 등 주요 허브공항의 혼잡은 극심한 수준이다.
더피 장관은 “휴가를 낸 관제사들을 해고할 계획은 없다”며 “모두에게 업무 복귀를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업계는 관제 인력의 사기 저하와 시스템 부담이 누적될 경우,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에 델타항공, 유나이티드항공, 사우스웨스트항공, 아메리칸항공 등 주요 항공사와 전미항공관제사협회(NATCA)는 미 의회에 임시예산안 통과를 촉구하며 “정부 기능 정상화 없이는 항공 시스템 전반의 신뢰성이 위태롭다”고 경고했다.
스콧 커비 유나이티드항공 CEO도 로이터통신(Reuters)에 “추수감사절 연휴를 앞두고 여행객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며 “예약과 운항 모두 심각한 차질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 의회는 임시예산안을 둘러싸고 공화·민주 양당이 대립하고 있다.
특히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항공운송뿐 아니라 관세·식품안전·공공보건 등 주요 공공서비스에도 연쇄적인 피해가 확산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