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기연 한국수출입은행장이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수출입은행
▲ 황기연 한국수출입은행장이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수출입은행
투데이코리아=서승리 기자 | 황기연 신임 수출입은행장이 “미래성장을 견인할 전략산업을 선제적으로 육성하는데 수은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황 신임 행장은 6일 오후 여의도 수출입은행 본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기술선도 산업의 초기 투자부터 수출, 해외 진출까지 전 성장경로를 아우르는 맞춤형 금융을 제공해 산업 고도화와 경제구조 전환을 앞당겨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인공지능·반도체·바이오·방산 등 미래성장 분야의 핵심기술 개발과 수출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하겠다”며 “AI 대전환을 위한 주요 산업분야의 피지컬 AI 도입 및 유관 인프라 구축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특히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정책금융’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소중견기업은 우리 경제의 허리이자 근간이며, 산업 생태계를 지탱하는 뿌리”라며 “관세장벽과 환율변동에 직면한 중소중견기업들이 생존을 넘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수은이 든든한 보호막이 되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어 “성장 잠재력이 있는 기업에 과감하게 금융을 공급하고 성장 단계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며 “성장기회 확보를 위한 우리 기업의 대미 투자사업 금융수요에 적극 부응해 정부 정책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 및 남북관계와 관련한 언급도 이어졌다.
 
황 행장은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신재생 에너지, 수소산업 등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금융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남북협력기금의 전략적 활용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와 공동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경제협력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언급했다.
 
개발도상국 등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도 전했다.
 
황 행장은 “세계 경제의 무게중심은 빠르게 다극화되고 있다”며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글로벌 사우스 지역은 미·중에 편중된 경제·교역구조를 가진 우리 경제에 새로운 기회의 장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개도국의 발전을 지원하는 동시에 무역 및 수출 다변화를 선도하는 전략적 협력자로서 기능해야 한다”며 “우리 기업의 현지 인프라 및 에너지 분야 진출에 수출금융을 적극 제공하고, 지정학적 글로벌 경쟁에서 개도국의 경제발전과 우리 국익을 함께 도모하기 위한 전략적 레버리지로 대외경제협력기금을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개발금융 기능을 한층 강화해 개도국 현지 공급망 및 산업 생태계 조성을 지원함으로써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장기 성장기반을 구축하는 상생형 성장모델을 만들겠다”고 부연했다.
 
현장 중심의 능동적 정책금융기관으로 자리잡아야 한다는 당부도 전했다.
 
그는 “기업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그들의 수요에 최적화된 금융솔루션을 신속히 설계·지원하는 현장형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며 “방산, 원전과 같은 대규모 전략사업은 정부 및 민간과 협업하여 속도감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이어 “중소중견기업 지원에 대해서는 절차를 간소화하고, 현장상담과 맞춤형 솔루션을 강화하여 생산적 금융의 효과를 극대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