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백 경정은 지난 5일 입장문을 내고 마약 운반책들이 진술을 바꾸는 것에 대해 “인지상정, 자기 방어에서 나오는 당연한 자기변호 활동”이라고 밝혔다.
이어 “자신의 범죄 사실을 자백하거나 처음 진술할 때 표현 자체가 거칠고 다듬어지지 않은 경우가 훨씬 많다”며 “마약 조직원들이 거짓 변명을 늘어놓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바로 들통나기 마련”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거짓) 주장은 할 수 있겠지만 특정 세관원을 정확히 찍어낼 수는 없는 것”이라며 “운반책 A씨는 그해 11월 현장검증 때 처음 나와 더 확실하게 세관 직원 3명을 찍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백 경정은 2023년 영등포경찰서 형사과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말레이시아인 운반책 3명으로부터 인천공항 세관 직원들이 마약 밀수에 연루됐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당시 운반책 3명은 “1월에도 입국했는데 세관 직원들이 필로폰이 숨겨진 신체 부위를 검사하지 않고 통과시켰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한 언론 브리핑을 준비하던 백 경정은 서울경찰청 생활안전부장이던 조병노 경무관과 김찬수 당시 영등포서장으로부터 세관 직원 연루 부분을 빼달라는 외압을 받았다고 폭로했다.
이후 백 경정은 지난달 이재명 대통령 지시로 동부지검 합수팀에 파견됐고, 해당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기존 팀과 별개로 그를 팀장으로 하는 5인 규모 수사팀도 꾸려졌다.
그러나 운반책은 최근 “세관 직원이 도운 적이 없다”, “시간이 너무 지나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진술을 번복했다. 여기에 인천공항 현장검증에서 운반책이 조현병 등 정신 이상을 호소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의혹의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취지의 기사가 보도됐다.
이에 대해 백 경장은 “검찰 피의자 신문조서에서도 증인들의 진술이 그때그때 달라 재판 과정에서는 판사도 헷갈린다고 표현할 정도였다”고 반박했다.
이어 “(운반책이 조현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은) 검찰이 먼저 알고 있었다”며 “검찰은 해당 운반책의 진술을 토대로 부인하는 다른 피의자들을 추궁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끝까지 부인하는 피의자의 범죄혐의를 입증하는 증거로 해당 진술을 법정 증거로 사용했던 검찰이 이제 와서 정신분열증 운운하는 것은 자기모순”이라며 지적했다.
특히 운반책들이 ‘공항 밖 택시승강장까지 안내해줬다’고 지목한 세관 공무원이 당시 연가로 근무하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해 “해당 공무원은 유심칩을 3개 쓰는 사람이고, 사건 당일 주로 사용하는 휴대전화는 꺼져 있었다”며 “수사 당시 거주하던 집의 폐회로텔레비전(CCTV) 등은 기간 경과로 확인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세관 공무원들은 상주직원 통로가 아닌 여행객 통로 출입을 밥 먹듯 하며 근무지를 이탈했다”며 “모두 보안 규정 위반으로 위법한 행위이고, 시설주인 인천공항공사의 업무방해죄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백 경장은 최근 시민단체 서민민생대책위원회(서민위)로부터 직권남용 및 국회증언감정법 위반, 명예훼손, 업무방해 등 혐의로 서울경찰청에 고발당했다.
서민위는 고발장에서 “(언론 보도 등에 따르면) 서울동부지검 합동수사단은 ‘검찰이 수사를 일부러 덮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의견”이라며 “피고발인의 허위사실 유포 코스프레는 정치 및 사회적 혼란을 가속시키고 검찰, 경찰, 관세청 등의 명예뿐만 아니라 신뢰마저 훼손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