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현준 총괄팀장
back@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이 회장은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미고나 합동회의에서 “관세 협상 타결로 저희 기업들이 크게 안도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회장은 또한 “상황이 어렵더라도 지금 경제 상황이 녹록지만은 않지만, 지난 9월 달에 약속드린 대로 향후 5년간 매년 6만명씩 국내에서 고용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R&D도 포함해서 국내 시설 투자, 더욱 적극적으로 해 나가겠다”며 “지역 균형 발전도 말씀하셨는데, 저희가 짓는 AI 데이터 센터는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 짓는 걸 원칙으로 하겠다”고 언급했다.
이 회장은 “외교력, 국방력, 문화 자산인 K-컬처는 물론이고, 산업 경쟁력이 국력을 키우는데 핵심 요소라고 생각한다”며 “저희 삼성은 미래 기술 개발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 열심히 하겠다”고 거듭 사의(謝意)를 표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등과 회동하며 “‘지금까지 정부와 기업이 이렇게 합이 잘 맞아서 공동 대응을 한 사례가 없었던 것 같다. 그것은 전적으로 우리 기업인 여러분들의 헌신과 노력 덕분이다.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또한 한미 협상을 “우리가 뭔가를 새롭게 획득하기 위한 그야말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협상이었으면 어떤 결과가 나더라도 즐거운 일이었을 텐데, 안타깝게도 국제 질서 변경에 따라서 불가피하게 우리가 수동적으로 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의 협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어쨌든 좋은 상황을 만들기보다는 나쁜 상황을 만들지 않는 게 최선이었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과정이었다는 건 여러분도 잘 아실 것 같다”며 “이제 앞으로가 더 중요하겠다”고 했다.
이어 “기업들이 자유롭게 창의적으로 힘 있게 전 세계를 상대로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게 정부의 주요 역할”이라며 “그 점에 대해서는 최소한 이 정부에서는 부족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