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LG에너지솔루션이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를 국내 생산한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회사는 올해 말부터 관련 생산 라인 구축을 시작하고 오는 2027년 본격 가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초기 생산 규모는 1GWh(기가와트시)가 될 전망이다.
회사 관계자는 “향후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생산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며 “이와 함께 소재·부품·장비 등 국내 LFP 배터리 생태계 발전을 위한 노력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중국 남경 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를 생산했으며 올해 6월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 제품 생산을 해오고 있다.
특히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권 이외 기업 중에서는 유일하게 ESS용 LFP 배터리 양산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이에 글로벌 업체들과 대규모 ESS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해 올해 3분기 말 기준 수주 잔고가 약 120GWh에 달하는 중이다.
회사는 이 같은 경험치를 국내 오창 에너지플랜트에도 이식해 국내 산업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현재 국내 양산 체계가 부족한 LFP 소재 등의 국내 생산 확대를 위해 소부장 협력업체들과 공동 기술 개발, 단계적 공급망 협력 등 교류 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김형식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사업부장 김형식 상무는 “오창 에너지플랜트는 LG에너지솔루션의 모든 제품 개발과 제조의 허브 역할을 하는 ‘마더 팩토리(Mother Factory)’”라며 “이 곳에서 ESS용 LFP 배터리를 생산하는 것은 국내 ESS 산업 생태계의 더 큰 도전과 도약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 등에 따르면 전 세계 ESS 시장의 약 90% 이상이 LFP 배터리를 기반으로 구축되는 등 대세로 자리잡는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LFP배터리에 대해 높은 원가 경쟁력과 상대적으로 낮은 발화 가능성 등으로 인해 안전·가격 측면에서 ESS에 최적화된 배터리란 평가가 나오는 중이다.
이에 LG에너지솔루션 또한 북미, 유럽 지역 수주 대형 ESS 프로젝트를 LFP 기반으로 진행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당사 LFP 제품은 UL9540A 기준을 충족하는 것은 물론 대형 화재 모의 시험(Large Scale Fire Test)을 통해 셀의 안전성을 입증했다”며 “이러한 성과는 LFP 셀의 높은 품질 역량뿐 아니라 LG에너지솔루션이 자체 개발한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 기술과 모듈·팩 설계 기술이 결합된 결과”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