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독교복음선교회(JMS) 정명석 총재. 사진=엑소더스(안티JMS) 홈페이지 캡쳐
▲ 기독교복음선교회(JMS) 정명석 총재. 사진=엑소더스(안티JMS) 홈페이지 캡쳐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정명석 기독교복음선교회(JMS) 총재가 저술한 저서가 국립 도서관과 주요 대학교 도서관에 비치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출판의 자유도 중요하지만 성범죄로 재판에서 유죄를 받은 이의 저서가 아무런 필터 없이 제공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9일 <투데이코리아> 취재를 종합하면, 국립중앙도서관과 국립세종도서관 등 일부 국립 도서관에서 정명석이 집필한 책과 JMS 신도로 추정되는 인물이 정명석 설교를 모아 엮어낸 ‘설교말씀 생각노트’ 등이 비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는 정명석을 저자로 한 ‘영감의 시 : 정명석 시집 II’, ‘정명석 목사의 아가페 사랑’, ‘생명의 말씀 : 정명석 총재 설교 제2집(1998년 7월-1999년 3월)’ 등 도서를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특히 JMS 신도로 추정되는 인물이 정명석의 설교를 모아 엮어낸 도서의 정보란에는 “감정이 말(言)을 걸어오다. 한글과 한자를 수족(手足)처럼 사용하며 언어적 유희(遊戱)를 자유롭게 펼치는 표현의 나래를 경험할 에세이집”이라는 소개 문구도 적시돼 있었다.

이러한 책들은 주요 대학 도서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는 2018년 발간된 ‘(전쟁은 잔인했다) 사랑과 평화다 : 베트남전쟁 참전기 1966-1969’가 대출 가능 자료로 분류돼 있었으며,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에서도 그의 저서 10여권이 대여 가능 상태로 검색됐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역시 다수의 정명석 저서를 소장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본지가 서울·경기권 주요 대학 10여 곳을 추가 확인한 결과, 상당수 대학 온라인 도서관에서 정명석의 책이 ‘기독교 수양’, ‘기독교’ 등의 주제명으로 분류돼 일반 도서처럼 비치돼 있었다.

이를 두고 JMS를 탈퇴한 A씨는 본지에 “JMS는 정명석의 책을 대중에게 노출되기 좋은 공공시설 등에 비치해 포교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려 한다”며 “교주의 범죄를 미화하고 이미지를 세탁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탁지원 현대종교 소장은 이러한 상황과 관련해 “한국은 종교의 자유 범위가 넓어 사이비 종교 서적도 별다른 제재 없이 도서관에 비치되는 현실이 있다”며 “이단·사이비 문제는 이제 종교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위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교리 논쟁을 떠나 윤리·도덕·반사회적 행위에 대한 공적 판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도서관·서점에 사이비 서적이 아무런 필터 없이 배치되는 상황은 개선해야 한다”며 “문제 제기 자체가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 “보이스피싱을 모두가 경계하듯, 종교단체를 사칭한 보이스피싱·스미싱도 주의해야 한다”며 “신앙 서적으로 위장한 사이비 교재가 개인과 가정에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학부모 단체도 해당 도서 비치에 대한 우려의 입장을 밝혔다.
 
전국학부모단체연합 관계자는 “여신도를 성폭행한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은 JMS 정명석의 저서가 국립·대학 도서관에까지 비치되었다는 사실은 학부모로서 깊은 우려를 갖게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도서관이 표현의 자유와 다양성을 존중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성범죄자의 저서가 여과없이 전달되어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영향력을 끼치게 될지 심히 우려스럽고 걱정스럽다. 또한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 보호와 윤리적 책무에 부합하지 않다 여겨진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소한의 경고 표기, 분류 기준 재검토, 청소년 접근 제한 등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아이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지식을 접할 수 있도록, 국가와 교육기관의 책임 있는 조치를 강력히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다만 도서관 측은 정명석을 저자로 한 책들의 경우 나이 제한을 설정했고, 자료에 관한 자체 판단을 내리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이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국립 도서관에서는 자료를 판단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에 기본적으로 폐기는 하지 않는다”며 “역설적으로 잘못된 자료는 그 자료 그 사실을 가져다 반증하는 역사적 자료가 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례로 조선총독부 도서관 자료를 일부 소장하고 있는데, 이게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이 우리나라를 어떤 식으로 수탈했는지 역사적인 자료가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