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소심 여사를 비롯한 해외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13일 광복 80주년을 맞아 국립현충원 현충탑 앞에서 참배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 이소심 여사를 비롯한 해외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13일 광복 80주년을 맞아 국립현충원 현충탑 앞에서 참배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매년 11월 17일은 일본의 조선 침략과 식민지 지배에 맞서 싸운 독립운동 유공자들을 기리는 ‘순국선열의 날’로, 이름과 기록조차 남기지 못한 채 목숨을 던진 수많은 독립운동가를 추모하기 위해 제정된 법정기념일이다.

이날은 1905년 11월 17일 체결된 을사조약의 치욕을 잊지 말자는 뜻을 담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1939년 ‘순국선열공동기념일’로 지정한 데서 비롯됐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광복이 될 때까지 매년 추모행사를 주관했고, 광복 직후부터 한국전쟁 시기까지는 민간단체가 그 역할을 이어받았다. 이 시기 행사에는 이승만 전 대통령, 김구 선생 등 주요 정치인과 사회 지도자들도 참석했다.

1955년부터 1969년까지는 정부가 다시 공식 기념행사를 열었으며, 1962년 이후부터는 국가보훈처가 주관 기관을 맡았다. 다만 1970년 정부 행사 간소화 조치로 공식 행사가 현충일 추념식에 포함되면서 단일 행사로 운영되기도 했다.

그러나 1997년 ‘순국선열의 날’이 국가기념일로 제정되면서 정부 주관 기념식이 다시 독립적으로 복원돼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

올해의 경우 17일 서울 노원구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중정 연못에서 제86회 ‘순국선열의 날’ 기념식을 거행했다. 육군사관학교에서 기념식을 여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보훈처는 이번 행사를 육사에서 열게 된 이유에 대해 항일 의병과 독립군 그리고 광복군을 계승하고, 대한민국 국군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장소라는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는 독립유공자와 유족, 정부 주요 인사, 육사 생도 등 800여명이 참석했고, 보훈부는 순국선열의 날 계기 포상자로 선정된 독립유공자 95명 중 5명의 유족에게 포상을 전수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기념식을 찾아 기념사로 “순국선열을 한 분이라도 더 찾고, 유가족 분들에 대한 지원과 보상을 확대하는 데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께서는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이 더 이상 통용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셨다”며 “정부는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라는 보훈의 가치를 바탕으로 합당한 예우와 보상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제가 지난 광복절, 이국땅에 잠들어 계시던 독립유공자 여섯 분의 유해 봉환식 때 말씀드렸던 것처럼, 모든 순국선열 분께서 조국 땅에 돌아오시는 그날까지 유해 봉환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김 총리는 “국권을 상실한 참담함 속에서도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치셨던 선열들의 강인한 정신은 오늘의 대한민국을 세운 토대이자 미래로 나아가게 하는 힘”이라며 “선열들의 숭고한 삶과 정신을 되새기며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