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17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주요 외신을 종합하면,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회의에서 15개 이사국 중 한국을 포함한 13개국이 찬성표를 던졌으며, 러시아와 중국은 기권했다.
안보리 결의는 15개 이사국 중 9개국 이상 찬성과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중국·러시아)의 거부권이 없을 때 통과된다. 러시아가 별도의 가자지구 결의안을 추진해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아랍권과 무슬림 국가들의 지지를 고려해 기권으로 입장을 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미국은 카타르,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요르단, 튀르키예 등과 협의해 이번 평화구상에 대한 지지를 확보한 바 있다. AFP통신은 “중동과 무슬림 국가들 다수가 미국안을 지지했다”고 전했다.
이번 결의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9월 29일 제시한 ‘가자 분쟁 종식을 위한 포괄적 계획’을 근거로 하고 있다. 결의안은 분쟁 당사자들이 휴전을 유지하고 계획 전반을 이행할 것을 촉구하며, 특히 가자지구의 과도 행정을 담당할 ‘평화위원회’(BoP) 설립을 승인했다.
이 기구는 공공서비스 조정, 인도적 지원, 재건 및 경제회복 프로그램 등 행정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권한이 부여된다. 성격 면에서는 과거 유엔의 신탁통치 기구와 유사한 형태다.
또한 결의는 각 회원국이 가자지구 내 ‘임시 국제안정화군’(ISF)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고 명시했다. ISF의 임무에는 지역 치안 유지와 함께 ‘비국가 무장집단의 영구적 무장해제’가 포함돼 사실상 하마스의 무기 체계를 해제하는 조치를 수행하게 된다.
마이크 왈츠 주유엔 미국대사는 회의에서 “인도네시아, 아제르바이잔 등 다수의 무슬림 국가 병력이 참여한 다국적 평화유지군이 통합 지휘 아래 투입될 것”이라며 “민간인 보호, 구호물자 호송 지원, 비무장화 감독을 포함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결의안에는 향후 팔레스타인 국가 지위(statehood) 문제를 고려하는 내용도 언급됐다. 결의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의 개혁 프로그램이 이행되고 가자지구 재건이 진전될 경우, 자결권과 국가 지위에 이르는 신뢰 가능한 경로가 마련될 수 있다”고 명시했다. 이 대목은 결의안 협의 과정에서 이스라엘이 가장 강하게 반대했던 부분이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표결 전날(16일)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을 위한 시도에 반대한다”며 미국안에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결의 후 러시아 역시 우려를 제기했다. 바실리 네벤자 러시아 대사는 “미국안에는 ‘두 국가 해법’이라는 핵심 요소가 부족하다”며 평화위원회와 ISF를 둘러싼 불확실성을 지적했다.
하마스도 결의안 채택 직후 성명을 내고 “이번 결의는 팔레스타인 주민의 정치·인도주의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반발했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가자지구 상황이 장기 교착에서 벗어날지를 두고 국제사회의 향후 논의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