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기존 바라카 원전 협력과 파병을 기반으로 구축된 신뢰를 바탕으로, AI·반도체·원자력·국방·스마트 인프라 등 8대 분야에서 구조적·제도적 협력 체계를 마련해 양국 관계를 장기적 동반자 관계로 고도화하겠다는 구상이다.
18일(현지시간) 아부다비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모하메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의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대한민국과 UAE의 100년 동행을 위한 새로운 도약’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양 정상은 바라카 원전 수주와 아크부대 파병이 양국 협력의 실질적 기반이 돼 왔다며 협력 수준이 지속적으로 강화됐다고 평가했다.
양국은 지난 2018년 수립된 특별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바탕으로 에너지·인프라·국방·우주·AI 등 핵심 분야에서 협력 범위가 꾸준히 확대돼 왔다고 밝혔다. 이번 회담에서는 상호 신뢰를 토대로 이 관계를 국제 정세에 흔들리지 않는 ‘영구적 수준’으로 격상하기로 합의했다.
공동선언문에는 AI·반도체, 원자력, 국방·방산, ‘UAE K-시티’ 조성, 물 분야 협력, 공중보건·의료, 교육, 문화·인적교류 등 8개 분야의 구체적 협력 방안이 명시됐다.
먼저 AI·반도체 분야에서 양국은 에너지 믹스 전략 기반의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공동 구축 및 운영, 디지털트윈과 피지컬 AI를 활용한 글로벌 ‘AI 스마트 항만’ 프로젝트 발굴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반도체 공급망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장관급 고위 대화 채널도 신설한다.
원자력 분야에서는 바라카 원전 모델을 확장해 제3국 공동 진출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국방·방산 협력도 단순 구매·판매 단계를 넘어 공동 개발, 기술 협력, 현지 생산 등 구조적 협력 체계로 전환하기로 했다.
또 K-컬처·식품·혁신기업·인재 등 한국의 소프트파워를 집약한 상징적 프로젝트인 ‘UAE K-시티’를 조성하고, 중동·아프리카·유럽 제3국에 대한 공동 진출도 모색한다.
물·의료·교육·문화 교류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해 한국·UAE 간 인적·산업 네트워크를 폭넓게 확장하기로 했다. 또, 양국 정상은 이번 합의 내용을 실행하기 위해 양국 외교부 내 고위급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해 이행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