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지난달 31일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지난달 31일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대만 유사시 개입을 시사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발언 이후 중일 갈등이 외교·여행·문화 분야를 넘어 다시 통상 분야로 번지며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또다시 중지하기로 했다. 

중국이 수입 재개를 선언한 지 보름여 만에 제동을 건 것으로, 최근 일본에 대한 전방위 압박이 다시 강화되는 흐름이다.

19일 교도통신은 중국 정부가 일본 측에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다시 중지하겠다는 방침을 외교 경로를 통해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 관계자는 “중국이 오염수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이유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이달 초 대만 유사시 일본이 집단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취지로 발언한 이후 중국이 일본에 대한 여행·유학 자제 권고, 일본 영화 상영 연기 등을 잇달아 시행하며 압박 수위를 높인 가운데 나왔다.

중국은 일본이 지난 2023년 8월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방류를 시작하자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한 바 있다. 이후 올해 6월에는 후쿠시마·미야기 등 기존 금지 지역 10곳을 제외한 일본산 수산물의 대중 수출을 일부 재개하기로 발표했다.

실제 이달 5일에는 홋카이도산 냉동 가리비 6t(톤)이 중국으로 향하며 약 2년 만의 첫 수입이 이뤄졌다. 그러나 불과 보름 만에 수입이 다시 차단되면서 일본의 대중 수산물 수출은 또다시 막히게 됐다.

중국 외교부는 최근 브리핑에서 “법과 규정에 따라 일본산 수산물 관리·감독을 강화할 것”이라며 “위험 요소가 발견되면 즉시 수입 제한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국제적·자체적 모니터링을 지속할 것”이라며 일본 측의 협조를 요구했다.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개 조건으로 관련 시설 등록과 방사성 물질 검사 증명서를 제출하도록 했지만, 교도통신은 일본 내 697개 신청 시설 중 3곳만 승인된 상태라고 보도했다.

대만·오염수·안전성 논란이 맞물리면서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규제가 다시 강화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며, 향후 중일 갈등이 통상·민간 교류 전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