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19일(현지시간) 공개된 지난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참석자들은 일부가 “예상된 흐름이 유지될 경우 12월 금리 인하가 적절하다”고 본 반면, 더 많은 수는 “연말까지 금리를 동결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연준 표현상 ‘many’(다수)가 ‘several’(몇몇)보다 더 큰 규모를 의미하는 만큼, 추가 인하에 대한 회의적 기류가 우세했던 셈이다.
다만 의사록의 ‘참석자’라는 표현은 투표권 보유자 전체를 뜻하지 않는다. 회의에는 19명이 참여하지만 실제 투표권자는 12명에 불과해 투표권자들의 정확한 방향성은 확인되지 않는다.
의사록은 10월 금리 인하 결정 과정에서도 내부 이견이 컸음을 드러냈는데, 당시 연준은 기준금리를 3.75~4%로 0.25%포인트(p) 내렸지만, 노동시장 둔화와 인플레이션 고착화 중 어느 요소가 더 큰 위험인지 의견이 엇갈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회의 후 “12월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시장은 직전까지 12월 9~10일 FOMC에서 추가 인하 가능성을 높게 봤지만, 파월 의장 발언 이후 기대값은 3분의 1 미만으로 떨어졌다. 의사록은 ‘대다수 참석자’가 향후 추가 인하 필요성에는 의견을 같이했지만, 반드시 12월일 필요는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참석자들은 노동시장 둔화와 2% 목표까지의 둔한 인플레이션 진정 속도를 동시에 우려한 것으로 나온다. 의사록은 “다수는 이번 회의에서 인하를 지지했고 일부는 인하에 찬성하되 동결도 수용할 수 있다고 했으며, 몇몇은 인하에 반대했다”고 기록했다.
논쟁의 핵심은 현재 통화정책이 얼마나 ‘제약적’(restrictive)인지에 관한 판단이었다. 0.25%포인트 인하 후에도 성장 억제 효과가 충분하다고 본 참석자가 있는 반면, ‘경제활동의 탄력성’을 이유로 아직 제약 수준이 충분치 않다고 본 이들도 있었다.
공개 발언 기준으로는 스티븐 미랜·크리스토퍼 월러·미셸 보우먼 이사가 노동시장 약화를 우려하는 ‘비둘기파’, 제프리 슈미트(캔자스시티)·수전 콜린스(보스턴)·알베르토 무살렘(세인트루이스) 등 지역 연준 총재들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우선시하는 ‘매파’로 분류된다.
이들 사이에서 파월 의장과 필립 제퍼슨 부의장, 존 윌리엄스 뉴욕 연준 총재는 인내심 있는 접근을 강조하는 중도 성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의사록은 참석자 중 1명이 0.5%포인트의 ‘과감한 인하’를 주장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미랜 이사를 가리킨다. 반면 슈미트 총재는 인하 자체에 반대해 반대표를 던졌다. 연방정부의 44일간 최장 셧다운으로 주요 통계 생산이 중단된 점도 결정 과정을 어렵게 만든 것으로 언급됐다. 파월 의장은 이를 “안개 속 운전”에 비유한 바 있다.
이날 의사록은 대차대조표 정책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FOMC가 12월부터 국채·주택저당증권(MBS) 축소를 중단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양적 긴축(QT) 과정에서 대차대조표 규모는 이미 2조5000억달러 이상 감소해 약 6조6000억달러 수준으로 내려온 상태며, QT 종료에 대해선 참석자 사이에서 광범위한 동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