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자료 공개가 법적으로 강제되면서 향후 정치권과 법무부, 그리고 트럼프 본인에게 미칠 파장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특히 미성년자 성착취 범죄에 연루된 인물들의 이름이 일부라도 확인될 경우 공직자·유력 정치인의 거취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여야 모두 예민한 정국이 펼쳐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19일(현지시간)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유죄 판결을 받았던 성범죄자 엡스타인 관련 파일을 전면 공개하도록 하는 법안에 서명했다고 전했다. 당초 공개 요구에 부정적이던 입장에서 공화당 내부의 압박과 정치적 부담을 고려해 입장을 급히 바꾼 것으로 풀이된다.
미 하원은 전날(18일) 해당 법안을 찬성 427표, 반대 1표로 사실상 만장일치에 가깝게 가결했다. 뒤이어 상원도 만장일치 동의 방식으로 법안을 신속히 처리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만 남긴 상태였다.
엡스타인 파일은 2019년 사망한 억만장자 금융인 엡스타인에 대한 수사 문건으로, 미성년자 성착취 혐의에 연루된 인물 및 공모자들이 포함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도 생전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연루 의혹이 계속 제기돼 왔다.
이번 법안은 법무장관에게 엡스타인과 공모자 길레인 맥스웰 관련 모든 기밀 기록과 수사 자료를 30일 이내 공개하도록 의무화했다. 피해자 신상이나 수사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정보는 편집할 수 있지만, “당혹감·명예 훼손·정치적 민감성”을 이유로 공개를 거부할 수 없도록 명확히 규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에 서명 사실을 알리며 “민주당은 공화당보다 훨씬 더 큰 영향을 받을 ‘엡스타인 문제’를 이용해 우리의 놀라운 승리에서 시선을 돌리려 한다”고 주장했다.
그간 “민주당의 사기극”이라고 비판하던 입장을 돌연 바꾼 배경에는 공화당 내 이탈표가 늘고 법안 통과가 기정사실화된 정치적 상황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 트루스소셜에 공화당 의원들에게 찬성표를 던지라고 촉구하며 입장을 공식적으로 뒤집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