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86.51포인트(0.84%) 하락한 4만5752.2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03.40포인트(1.56%) 떨어진 6538.7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86.18포인트(2.15%) 밀린 2만2078.05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강세로 출발했다. 최근 AI 관련 기업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며 약세를 보여왔으나, 전날 발표된 엔비디아의 어닝서프라이즈에 힘입어 강세로 출발했다. 전날 엔비디아가 공개한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62% 증가했다.
특히,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실적과 함께 발표한 성명에서 “블랙웰 판매량은 차트에 표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며 “글라우드 GPU는 품절 상태”라고 언급했다.
이에 시장에서는 그간 확산된 AI 버블론이 해소될 것이란 기대감이 형성되는 등 투자심리가 개선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그러나 오전 장중 매수 동력이 약해지며 상승분을 반납하고, 증시 고평가 논란이 다시 확산되며 S&P500 지수가 약세로 하락 반전하는 등 상승 랠리에 제동이 걸렸다. 이날 나스닥 종합지수의 장중 고점 대비 저점 낙폭은 5%에 달했으며, 엔비디아의 최대 낙폭도 8%까지 증가하며 3.15% 하락 마감했다.
이 외에도 AMD(-7.84%), 팔란티어(-5.85%), 인텔(-4.24%), 퀄컴(-3.93%) 등 반도체 종목이 급락세를 보였다.
리사 쿡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는 고평가된 금융자산 가격의 하락 위험에 대해 경고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그는 이날 미국 워싱턴DC 조지타운 경영대학원에서 공개연설에서 “고평가된 자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증가했다는 것이 현재 내가 가진 인상”이라면서도 “금융시스템의 전반적 회복력에 비춰볼 때 ‘대침체’ 시기에 나타난 것과 같은 약화가 나타날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언급했다.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날 뉴욕증시의 하락 전환을 초래한 요인이 뚜렷하게 제시되지 않는 상황이다.
스티브 소스닉 인터랙티브 브로커스 수석 전략가는 “이날 시장의 놀라운 반전은 투자자들의 심리가 상당히 취약해져 있다는 신호”라며 “투자자들이 엔비디아의 실적과 AI 버블이 없다는 확신에 매료됐다면 그렇게 빨리 알고리즘의 이상 현상에 굴복하지 않았을 것이며 시장은 미세하게 흔들리다 결국 강세 기조를 이어갔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완전한 반전이 일어났고 추가적인 하락까지 더해졌다”고 부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