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박 지검장은 21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어려운 시기에 중앙지검장의 중책의 맡고 부임하게 되니 무거운 책임이 앞선다”고 운을 뗐다.
이어 “검찰청 업무에 대한 조직과 기능의 큰 변화가 다가오고 있다”며 “형사사법 제도는 변할 수 있지만, 범죄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권익을 구제하는 검찰 본연의 책무는 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경찰 수사에 대한 효율적인 사법통제와 보완 수사야말로 국민들로부터 검찰의 존재의의를 새롭게 인정받을 수 있는 중요한 분야”며 “검찰 제도 변화와 개편 논의에 구성원들의 지혜를 모아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박 지검장은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에 대한 별도의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대신 그는 “검찰은 맡은 바 역할 때문에 국민의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지만 요근래만큼 그동안 쏟아부은 열정이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것 같은 박탈감과 자괴감이 드는 시기는 없을 것”이라며 에둘러 말했다.
이어 “저 또한 억울한 감정을 부정할 수 없는 게 솔직한 심정”이라며 “하지만 최소한 국민들로부터 수사권 행사의 형평성이 지적되었던 장면들, 무의식적으로나마 오만하게 보일 수도 있었던 언행들을 생각해 보며 성찰하는 것부터 시작해보자”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누군가의 잘잘못을 따지자는 것이 아니”라며 “부지불식간에 넘어갔던 부족함이나 과함이 없었는지 곱씹어 보는 자세를 가지자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정진우 전 지검장이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 이후 사의를 표한 지 11일 만인 지난 19일 박 지검장은 법무부 검찰 고위 간부 인사를 통해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새로 임명됐다.
박 지검장은 직전 대검 반부패부장으로 대장동 항소 포기 절차에 실무적으로 관여한 핵심 인물로 알려졌다. 당시 박 지검장이 대장동 사건 항소를 요구하는 서울중앙지검에 ‘재검토’를 지시했고 수사팀은 이를 항소 불허로 받아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친정부 성향으로 분류되는 박 지검장의 이번 승진을 두고 법조계, 정치계 등 일각에서는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와 관련한 이재명 정부의 검찰 기강 잡기가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단순한 보은 인사를 넘어 대장동 범죄 수익을 수호하는 침묵의 카르텔을 완성하겠다는 대국민 선전 포고”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도 “대장동 범죄자 일당의 범죄 수익을 지키기 위해 정부 여당이 조직적으로 벌이고 있는 이번 사태는 권력형 비리 게이트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라며 “반드시 그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박 지검장은 이날 출근길에서 “저에 대한 정확하지 않은 내용이 퍼졌다”며 “직책 수행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검찰 구성원들의 생각과 정서를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하고 있다”며 “반발 정서에 대해 정치권에서도 널리 이해해 주셨으면 하는 게 제 소망”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