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한 초기 평화 구상안이 우크라이나와 유럽의 반발에 부딪힌 가운데, 양측이 제네바에서 대면 협상을 갖고 구조적 틀을 재정비한 것이다.
23일(현지시간) 미 국무부는 성명에서 “미·우크라 대표단이 미국 측 평화 제안을 논의하기 위해 제네바에서 회동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업데이트되고 정교화된 평화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협상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이 주도했다.
양측은 이번 회담을 “건설적이고 집중적이며 상호 존중의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고 평가하면서 “우크라이나 주권을 온전히 보장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담보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성명에는 “전쟁을 끝내기 위한 트럼프 대통령의 확고한 헌신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는 문구도 포함됐다.
루비오 장관은 회동 직후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오늘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며 “26~28개항 문서의 쟁점을 좁히는 것이 목적이었고, 그 목표에 의미 있는 수준으로 접근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예르마크 비서실장 역시 “첫 회의가 매우 생산적이었다”며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just and lasting peace)를 위한 움직임”이라고 평가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트럼프 대통령팀이 우리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는 신호가 있다”며 협상 진전에 기대감을 드러냈다.
초기 평화 구상안에는 우크라이나가 동부 돈바스 지역 전체를 러시아에 양보하고, 우크라이나군 병력을 60만명 규모로 축소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돼 논란을 빚었다. 반면 미국과 유럽이 나토와 유사한 ‘집단방위 방식의 안전보장’을 제공하는 방안도 거론됐다.
특히 해당 조항들은 러시아 입장이 과도하게 반영됐다는 이유로 우크라이나와 유럽 주요국의 반발을 샀고, 트럼프 대통령도 “초안은 최종 제안이 아니다”라며 수정 가능성을 내비친 바 있다.
이번 제네바 회담에서 우크라이나 측 입장이 얼마나 반영됐는지는 향후 공개될 ‘최종안’에서 확인될 전망이다.
미·우크라 대표단은 며칠간 추가 논의를 이어가며 유럽 파트너들과도 의견을 조율할 계획이다. 최종 평화 프레임워크에 대한 결정은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내리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