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니콜라이 탕엔 노르웨이 국부펀트 최고경영자(CEO). 사진=뉴시스
▲ 니콜라이 탕엔 노르웨이 국부펀트 최고경영자(CEO).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인공지능(AI)의 급속한 확산이 국제사회 전반의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며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내놨다.
 
니콜라이 탕엔 국부펀드 최고경영자(CEO)는 AI 접근 비용 상승이 국가 간·계층 간 격차를 동시에 키울 수 있다고 진단하며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의 기술·경제적 분열이 현실화할 가능성을 우려했다.
 
23일(현지시간) 탱엔 CEO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첨단 AI를 활용하기 위해선 사전 교육, 전력, 디지털 인프라가 필요하다”며 “이 요소들이 국가 간 격차를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AI를 감당할 수 있는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로 세계가 양분될 실질적 위험이 있다”며 지정학적 단층선이 기술 격차에서 비롯될 가능성을 지적했다.
 
특히 “미국은 AI는 많고 규제는 적다. 유럽은 AI는 적고 규제는 많다”며 유럽연합(EU)의 규제 중심 접근이 미국과의 성장 격차를 확대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직 헤지펀드 운용자 출신인 탱엔 CEO는 AI 확산이 노동시장 혼란과 접근성 문제를 불러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기술 변화 속도에 정책이 따라가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각국 정부와 기업이 불균형적 AI 도입이 초래할 사회·경제적 충격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 중요한 것은 민첩성과 사회의 대비 능력”이라는 말도 같은 맥락에서 나왔다.
 
AI 버블 논란에 대해선 보다 복합적인 시각을 보였다.
 
탱엔 CEO는 “AI 투자 열풍이 거품의 특징을 가진 것은 사실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결코 나쁜 버블이 아닐 수 있다”고 말했다. 과대평가된 부분이 있더라도 대규모 자본 유입이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자동화·데이터 처리·모델 개발 등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FT는 그가 “투자자들의 과제는 소수 플랫폼 기업이 장악한 시장에서 진짜 혁신과 과장된 선전을 가려내는 일”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탕엔 CEO는 AI가 이미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운영 방식 자체도 바꿔놓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5년 전만 해도 기술 부서는 구석에 있었지만, 지금은 영웅이 됐다”며 “700명 중 460명이 실제로 코딩을 한다”며 국부펀드 내부에서도 AI 활용 경쟁이 본격화됐음을 시사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