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4일 기상청이 발표한 3개월 전망(2025년 12월~2026년 2월)에 따르면, 오는 12월과 1월 기온이 평년 수준일 확률은 50%, 높을 확률은 30%, 낮을 확률은 20%로 나타났다.
또한 내년 2월은 평년보다 높거나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였으며, 낮을 확률은 20%로 제시됐다.
올해 겨울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게 예측된 이유로는 스칸디나비아반도 주변과 인도양, 북대서양 등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점이 꼽힌다.
해당 지역의 높은 해수면 온도는 북서태평양에서 대기로 공급되는 열에너지를 늘려 우리나라 부근에 고기압성 순환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티베트 지역의 눈 덮임이 평년보다 적어 지면의 열에너지가 대기로 더 많이 전달되면서, 고기압성 순환이 발달, 동아시아로 확장되며 우리나라 겨울 기온 상승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장기적인 온난화 추세도 더해졌다.
세계 11개국 기상청 및 기관이 참여한 기후예측모델 분석에서도 올해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우리나라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53~59%로 나타나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다만 기온을 떨어뜨릴 요소도 적지 않다.
특히 바렌츠-카라해 일대 북극해 해빙이 크게 줄어 우랄 블로킹이 발생할 경우, 대기 흐름이 바뀌어 북극의 찬 공기가 한반도로 내려올 가능성이 있다.
적도 성층권의 동풍 강화, 동부 유라시아 지역의 많은 눈 덮임 등도 12월과 1월에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는 요인으로 작용해 기온이 크게 떨어질 때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강수량은 월별로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12월은 북극해 해빙 감소로 인해 차고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며 평년보다 적거나 비슷할 가능성이 40%로 가장 높다.
1월은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로 전망됐고, 2월은 고기압성 순환과 적도 성층권 동풍의 영향 등으로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거나 비슷할 확률이 40%로 제시됐다.
또한 기상청은 최근 가을철 강수량이 많았던 점을 고려할 때 겨울철 기상 가뭄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