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동영상 전송, 영상통화 등이 가능한 가정용 디지털 무선전화기가 내년 상용화 된다.

디지털 무선전화기는 아날로그보다 통화 품질이 우수한 것은 물론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송가능한 데이터 양이 많아져 실시간 동영상 전송, 영상통화 등이 가능하다.

특히 가정 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무선전화기 본체에 연결하면 부모가 집 근처를 외출할 때도 집에 남아있는 아기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처럼 무선전화기로도 인터넷에 접속, 다양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정보통신부는 3일 디지털 무선전화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하려고 공청회를 개최한 자리에서 올해 하반기 중 디지털 무선전화기 주파수 분배.기술기준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내년에 가정용 디지털 무선전화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통부는 현재 디지털 무선전화기용 주파수 대역으로 1.7㎓나 2.4㎓ 대역을 검토 중이다.

유럽.미국에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1.7㎓ 대역은 통화 품질이 좋은 장점이 있으며 미국에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2.4㎓ 대역은 1.7㎓에 비해 통화품질은 상대적으로 나쁘지만 상용화된 제품이 많아 저렴한 부품 공급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디지털 무선전화기용 주파수로 유럽에서는 1.8㎓, 미국에서는 1.9㎓나 2.4/5.8㎓ 대역을 이용하고 있다.

정통부는 이날 공청회 결과를 반영, 6월말 디지털 무선전화기를 홈네트워크용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공청회를 추가로 개최할 예정이다.

가정용 디지털 무선전화기 시장은 전체 가정용 전화기 시장의 정체 추세와 달리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디지털 무선전화기 판매비율이 2002년 전체의 12%(450만대)에서 2004년 31%(1천94만대)로 증가했다.

한편 2000년 이후 국내에 판매된 아날로그 무선전화기는 약 660만대며 기기 수명이 종료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다.

디지탈 뉴스 : 임진명기자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