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경영계도 애도 한 목소리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각계 각층은 한 목소리로 애도의 뜻을 나타냈다.
먼저 종교계의 경우 종교의 차이를 초월해 모두 한 목소리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는 지난 18일 발표한 논평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에 깊은 애도를 표한다”며 “김대중 전 대통령은 일생을 정치인으로서, 격동하는 대한민국의 현대사 속에서 민주화와 남·북 평화에 크게 기여했다. 온 국민과 함께 애도하며 유가족들에게 하나님의 위로와 평강이 함께 하길 기도한다”고 말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정진석 추기경은 지난 18일 발표한 애도 메시지에서 “김대중 토마스 모어 전 대통령의 선종을 진심으로 애도한다”며 “큰 충격과 슬픔에 빠져있는 유족과 국민들에게도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정진석 추기경은 “한국인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이기도 한 김대중 토마스 모어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인권과 민주화, 한반도 평화증진을 위해 한평생 헌신하셨다”며 “지상의 삶을 충실히 마치고 선종하신 김대중 토마스 모어 전 대통령의 선종을 진심으로 애도하며 고인의 영혼이 자비하신 하느님 품 안에서 영원한 안식을 누리시기를 간절히 기도드린다”고 말했다.
대한불교조계종은 지난 18일 발표한 애도문에서 “대한불교조계종은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선구자이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를 가슴깊이 애도한다”며 “김대중 전 대통령은 우리 사회의 자유와 인권, 민주주의의 상징적 존재”라고 말했다.
대한불교조계종은 “투옥과 감금, 망명, 사형선고 등 개인이 감내하기에 버거운 모든 고통을 그는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국민에 대한 사랑으로 인동초처럼 이겨냈다”며 “고난을 이겨낸 그가 대통령이 돼선 외환위기를 국민들과 함께 슬기롭게 이겨냈고 IT강국의 초석을 닦았다. 경제성장이 어느 정도 이뤄진 바탕 위에 복지국가를 향한 첫걸음을 뗐고 인권국가로서의 기반을 정립했다. 햇볕정책으로 남·북의 평화적 공존에 초석을 놓았다. 이런 국가의 원로가 더 이상 우리와 함께 하지 못한다는 것이 매우 공허하며 안타깝다”고 말했다.
거의 모든 사안에 있어 정반대의 목소리를 냈던 노동계와 경영계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하는 데에는 한 목소리를 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지난 18일 발표한 논평에서 “우리 경영계는 오늘 김대중 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서거 소식에 애통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며 “우리는 우리나라 민주화와 IMF 위기극복에 기여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업적을 기리며, 오늘의 슬픔을 이겨내고 국가경제 발전을 위해 매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지난 18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민주노총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를 진심으로 애도한다”며 “민주노총은 80만 조합원과 함께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에 심심한 애도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공과는 역사가 평가할 것이나, 과거 군사정권에 맞선 반독재 민주화 투쟁과 대통령 당선 뒤 평화적 남·북 관계 진전에 미친 영향은 현세의 정치가들이 교훈삼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참여연대는 지난 18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우리는 대한민국의 민주화와 남·북간의 화해협력을 위해 헌신하셨던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가슴 깊이 슬퍼하며, 애도하는 바”라며 “한국의 민주주의가 현격히 퇴보하고 있고 남·북 관계도 위태로운 상황이기에 김 전 대통령의 서거는 너무도 안타깝고 슬픈 소식”이라고 말했다.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지난 18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평화와 인권의 대통령, 김대중 전 대통령의 명복을 빈다”며 “김대중 전 대통령은 우리에게 민주화와 평화, 인권의 중요함을 몸소 보여준 대통령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
투데이코리아 이광효 기자 leekhyo@todaykore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