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한결 기자
hkchoi9272@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오락가락 발표에... 불난 집에 부채질하나
▲ '검사 성추행'사건을 방치했다는 의혹이 있는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56회 국회(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 참석하고 있다.[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서지현 (45·연수원 33기) 창원지검 통영지청 검사가 성추행 피해 사실을 공개적으로 폭로하기에 앞서 지난해 박상기 법무부 장관에게 직접 이메일을 보내 면담을 요청했지만 방치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서 검사 측은 JTBC와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박 장관에게 피해 사실을 알리며 면담을 요청하는 이메일을 보냈고, 장관이 지정한 법무부 인사를 만나 진상 조사를 요청했지만 아무런 대책 없이 방치했다”고 주장했다.
법무부는 1일 오후 2시까지는 “박 장관이 서 검사의 이메일을 받은 적이 없다”고 반박해 진실 공방으로 번졌다. 그러나 같은 날 오후 3시 45분 공식 입장을 내면서 “서 검사로부터 이메일로 면담 요청이 있어 박 장관이 법무부 담당자에게 면담을 지시한 사실을 서 검사에게 알려주며 입장을 충분히 개진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불과 2시간도 안되어 공식 입장이 뒤바뀐 것이다.
몇 시간만에 입장이 바뀐 것에 대해 비판 여론이 들끓자 법무부 관계자는 “오늘 장관의 이메일을 뒤져보고 공식 면담 요청을 확인했다” 며 “그러나 담당 직원 면담 과정에서 성추행과 불이익을 호소했을 뿐 진상 조사 요청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서 검사 측은 법무부의 바뀐 해명조차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서 검사의 법률 대리인 김재련(46ㆍ32기) 법무법인 온세상 대표변호사는 2일 “서 검사가 메일로 (가해자의) 실명을 거론하며 강제추행 사실을 설명하고 인사 불이익에 대해 고통을 당하고 있는데 더는 입을 다물고 있기 어렵다고 판단돼서 직접 만나 뵙고 싶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또 “장관님의 답장을 받고 지정한 법무부 분을 만나 진상조사를 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박 장관이 직접 지정한 인사와 만났지만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더구나 법무부의 말 바꾸기는 이번 한번뿐이 아니다. 지난달 29일엔 서 검사의 성추행 폭로에 대해 “2015년 인사 과정에서 아무런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고 했다가 이튿날 “성추행 문제에 대해 철저히 진상을 조사해 엄정히 처리하고, 인사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다시 한번 철저히 살펴보겠다” 며 번복했기 때문이다.
한편 검찰 ‘성추행 사건 진상규명 및 피해회복 조사단’ 단장을 맡은 조희진(56·19기) 서울동부지검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검사로서, 공직자로서 최선을 다해 진상을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조 지검장은 서 검사 성추행 피해 현장에 있었던 이귀남 전 법무장관과 박 장관도 조사 대상에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입증에 필요하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사실관계를 확인하겠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