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재성 주필

중국이 국제사회 눈총을 받고 있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일명 우한폐렴) 사태 후 세계가 중국을 재앙의 진원지로 지목하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의 중국 왕따는 까닭이 있다. 지난해 12월 중국 의사 리원량(34李文亮)이 지난해 기침 고열 호흡곤란(사스 증후군) 의심환자 7명을 발견, 이를 의대동문 단체 채팅방에 공유하는 등 사회적 논의가 시작됐으나 중국 정부가 오히려 이들을 유언비어 유포혐의로 소환하는 등 입을 막아 초기진화를 놓쳐 불똥이 세계로 번졌다고 보는 것이다. 리원량은 당국의 전염병 은폐시도에도 불구하고 헌신적으로 활동하다가 자신도 감염돼 지난 2월 8일 사망했다.

중국에 대한 서방세계의 더 심각한 의심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최초 생성경로다. 이 부분에 대해 에이즈 바이러스 발견공로로 2008년 노벨의학상을 받은 뤼크 몽타니(Luc Montagnier) 박사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박쥐에서 나온 바이러스에 HIV(면역결핍)의 염기배열을 집어넣은 인위적 실험을 통해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역학적 견해를 내 놓아 이 바이러스가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생성됐을 가능성을 제기해 서방세계의 주장에 의학적 뒷받침을 했다.

이쯤 되자 그동안 중국에 호의적이던 독일 메르켈 총리도 "중국 정부는 코로나 바이러스 기원과 초기 확산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압박하는가 하면 독일 최대 일간지 빌트(bild)는 이달 17일 줄리안 라이켈트(Julian Reichelte) 편집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형식으로 "당신과 당신 정부 과학자들은 코로나19가 강력한 전염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세상에 알리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우리가 알 수 없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며 중국을 성토했고 영국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어떻게 퍼졌는지를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며 유럽사회 전체가 중국성토에 가세했다.

또 미국의 한 법률회사는 민간 피해자를 대리해 중국 정부에 소송을 냈다. 이 소송은 4명으로 시작해 40개 나라 1만여 명으로 불어나 배상 청구 규모가 6조 달러, 우리 돈 7천400조 원이다. 미국 라스베이거스 기업과 이스라엘 인권변호사 협회도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이에 호응해 미국은 국제보건규정(I·H·R)에 근거한 대 중국 소송을 돕기 위해 상원 국토안보위원회(H·S·C) 산하에 전염병 관련 역학조사 조사 자료 수집 등 전문기구를 설치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외교정책에 매우 비판적인 히브리 대학교 유발 하라리 교수는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가능한 선택은 민족주의적 고립과 국제적 연대, (전염병관리를 위한)전체주의적 감시강화와 시민자율권 확대를 통한 공동대응이 있다”며 21세기 디지털 문명의 급진전은 죠지 오웰이 예언한 ‘빅 브라더’의 출현이 가능해졌다는 전제하에 북한과 중국 이스라엘을 민족주의적 고립과 전체주의적 감시체제로 갈 가능성이 있는 국가로 꼽았다.

따라서 중국이 이번 코로나사태 초기 대응과정에서 비밀주의 그리고 자국 내 코로나 방역을 위한 확진자 가정의 문밖 폐쇄조치 등은 하라리 교수가 지목한 민족주의적 고립과 전체주의적 감시체제제가 작동되고 있음을 보여준 셈이다.

중국이 어떻게 대처하든 지금 같은 국제사회의 고립은 심각한 수렁이다. 이미 자유무역체제에 깊숙이 발을 들여놓은 마당에 국제적 고립은 당장의 타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국내 문제도 심각하다. 장기 불황에 시진핑 정부에 대한 불만 불신이 만만치 않다는 외신의 전언이다.

국내외 고립, 불황, 불신을 해결할 수 있는 열쇠는 하나로 집약된다. 시민의 자율선택 폭을 넓히고 황제식 통치를 지향하는 것이다. 어차피 국제사회와 연대하기 위해서는 인류 보편가치를 공유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는 문명의 전환이 올 것이라는 석학들의 전망이 좋은 방향일지 나쁜 방향일지 우선 중국을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