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진 의원 "개성 연락사무소 폭파...문재인 정부의 대북 유화정책이 실패했다는 증거"
"문재인 정부, 지금이라도 대북정책 근본적으로 전환해야" 촉구

▲미래통합당이 17일 오전 국회에서 외교안보특별위원회를 열었다. 사진제공=뉴시스
▲미래통합당이 17일 오전 국회에서 외교안보특별위원회를 열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코리아=오혁진 기자 | 미래통합당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단독 상임위원장 선출을 포함한 행보에 대해 비판하고 있으나 별다른 묘수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지난 16일 북한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기습 폭파하면서 통합당 내부에선 국방위원회와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는 참석해야하는 것이 옳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난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통합당은 박병석 국회의장실을 항의 방문해 강제적으로 배정받은 상임위 사임계를 제출하고 본회의 일정에 참여하지 않는 등 보이콧을 선언했다.

그러나 북한의 남북연락사무소 기습 폭파로 인해 통합당 강경 대응 태세가 흔들리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 당내 비상대책위원회를 통해 외교 안보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힌 상황이지만 국회 상임위에도 모습을 비추지 않는 것은 국민들이 보기에 달갑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장제원 통합당 의원은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가적 위기인 만큼, 국방위나 외통위 정도는 가동했으면 좋겠다”며 “법사위원장을 누가 갖느냐의 문제로 중도층은 우리 마음처럼 분노해주지 않는다. 투쟁은 수단이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썼다.

하태경 의원도 “통합당은 3대 외교안보 상임위(국방위·외통위·정보위)에 참여해 북한 위협에 대한 초당적 대응방안을 논의해야 한다”며 “민주당의 폭거는 용납할 수 없지만,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달린 국가 안보는 그보다 더 중차대한 문제이고 상위의 가치다”라고 지적했다.

통합당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위기를 기회로 삼을 수 있는 게 지금이라고 생각한다”며 “무조건적인 상임위 불참은 오히려 역관광을 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통합당은 당내 외교안보특별위원회에 김연철 통일부 장관을 불러 대북정책에 대해 따질 예정이지만 김 장관이 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 문제다. 

앞서 통합당은 지난 16일 외교·안보 특별위원회를 가동하고 위원장인 박진 의원을 중심으로 국방, 외교 전문가들을 모아 대책을 논의했다.

박 진 의원은 "북한이 개성의 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 문재인 정부의 잘못된 대북 유화정책이 실패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문재인 정부는 대북정책을 근본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