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소매판매 4개월 만에 마이너스 전환
5~6월 긴급재난지원금 소진 영향
8월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영향 반영될 듯

▲ 자료사진. 뉴시스 제공.
▲ 자료사진. 뉴시스 제공.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정부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에 따른 경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지급했던 ‘긴급재난지원금’의 소비진작 효과는 불과 2개월 만에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7월 소비가 전월 대비 6% 줄어들었는데, 재난지원금을 모두 소진한 국민들이 다시 지갑을 닫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기획재정부가 31일 발표한 ‘2020년 7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며 7월 전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1% 증가하며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7월 전 산업생산 증가세는 광공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각각 1.6%, 0.3% 증가한 영향이 컸다.
 
광공업생산은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수출부진 완화 등의 영향으로 자동차(14.4%), 기계장비(6.0%) 등이 증가하며 전체 생산 증가에 기여했다.
 
또 서비스업은 국내여행 증가, 스포츠·공연 재개 등의 영향에 숙박(19.8%), 여가(7.7%)를 중심으로 증가세를 나타냈다.
 
다만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6.0% 감소하며 나타내며 3월(-0.9%) 이후 4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코로나19 여파로 경기가 얼어붙었던 2월(-6.0%)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 같은 소매판매 감소세는 정부의 재난지원금 영향이 크다. 지난 5월 4.6% 반짝 증가한 소매판매는 6월(2.3%)까지 증가세를 이어가다 7월 다시 고꾸라졌다. 정부가 지급한 재난지원금 중 약 90%가 5~6월 소진된 만큼 앞으로 직접적인 소비 회복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
 
특히 8월은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 영향이 소매판매 지표에 그대로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7월의 경우 철저한 방역에 따른 코로나19 확산 방어에도 불구하고 재난지원금이 소진되자 소매판매가 감소세로 돌아섰다. 8월은 여기에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변수가 더 생긴 셈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4월 이후개선흐름을 보이던 내수 지표는 그간 큰 폭 개선에 따른 기저효과, 장마 등 특이요인 영향으로 다소 조정 받는 모습”이라며 “특히 최근 국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거리두기 강화 등으로 8월 이후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