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조계 "참고인 신분이라도 소환 조사 가능성"

▲ 사진제공=뉴시스
▲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코리아=오혁진 기자 | 옵티머스 사태를 수사하는 검찰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채동욱 전 검찰총장과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등 거물급 인사들이 연루됐다는 말까지 나오면서 검찰이 수사를 손쉽게 할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부장검사 주민철)는 옵티머스 사태를 정치원 로비 의혹과 펀드 사기 등으로 나눠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중앙지검 내부 안팎에서는 정치권 연루 의혹에 대한 수사가 지지부진한 만큼 옵티머스자산운용 고문단에 대한 수사도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김재현 대표가 만든 ‘펀드 하자 치유 문건’에 거물급 인사들이 등장하는 만큼 검찰에서도 수사에 나서야 하지만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검찰은 고문단이 옵티머스 사태와 관련해 불법적인 일에 개입하거나 연루된 정황을 파악하진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수천억이 넘는 자금을 만드는 과정에 고문단의 역할도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거세기 때문에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조사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최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펀드 하자 치유' 문건을 두고 "금융감독원 조사에 대비하기 위한 가짜 문서였다는 내용의 보고를 받았다"고 밝혀 검찰의 수사 명분도 약해진 상황이다.
 
특수통 출신 한 변호사는 “검찰의 머리가 아픈 상황”이라며 “옵티머스 펀드 판매 과정에서 검찰이 고문단과의 연루 정황을 포착한다면 좋겠지만 자금 흐름을 분석하는 것도 시일이 오래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