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 사진제공=뉴시스
▲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코리아=오혁진 기자 | 옵티머스자산운용 사태로 곤혹을 치르고 있는 NH투자증권이 펀드 원금 100% 반환문제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원금 전액 반환을 권고한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분조위) 권고 수용 여부를 미룰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은 오는 29일 이사회를 열고 옵티머스 펀드 원금 반환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은 금감원 분조위 권고에 대한 답변 기한이기도 하다.
 
NH투자증권 이사회는 수차례 간단회를 통해 분조위 권고 수용 여부를 논의했으나 결론 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 5일 분조위를 열고, NH투자증권이 판매한 옵티머스 펀드 관련 분쟁조정 신청 건에 대해 판매사가 전액 배상할 것을 권고했다. 라임무역펀드와 마찬가지로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를 적용했다.
 
NH투자증권은 지금껏 ‘계약 취소’ 조정안은 수용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여러 차례 밝혔다. NH투자증권 혼자 반환 금액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부실한 펀드를 판매한 과정에서 수탁사인 하나은행, 사무관리회사인 한국예탁결제원도 책임이 있다는 것이 NH투자증권의 논리다.
 
NH투자증권은 이후 금감원 측에 다자배상안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아직 NH투자증권에서 기한 연장을 요청하지 않았다. 요청이 들어오면 한 달 정도는 연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