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석 국회의장 "여야 사흘 시간 준다"

▲여야가 원구성 협상 법정 시한인 8일을 넘기고 아직까지 이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코리아=오혁진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상임위원장 선출을 위한 본회의를 예정대로 오늘 12일 강행했지만 결론이 나지 않았다. 미래통합당에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포함한 7개 상임위원장직을 양보하는 ‘통 큰 양보’를 했으나 법제사법위원장직이 아니면 안 된다며 거부했기 때문이다. 

이날 김영진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통합당이 이 같은 가합의안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통합당에 제안한 가합의안에는 예결위 외에 정무위·국토교통위·문화체육관광위·농림수산축산식품위·환경노동위 등 핵심 자리였다. 

그러나 통합당은 의원 총회를 열고 민주당의 가합의 안에 대해 “법사위가 아니면 안 된다”며 거부했다.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가합의안은 민주당이 내놓는 안을 뛰어넘는 최대 양보안이었고, 모든 노른자위를 양보한건데 통합당이 의총에서 거부한 것”이라며 “이는 총선의 민의를 무시하고 코로나 위기 극복을 열망하는 국민의 요구를 거부하는 구태정치”라고 지적했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이에 대해 “처음부터 법사위를 민주당이 강제적으로 가져가겠다는 것은 협상이 아니라 협박”이라면서 “야당과 합의없이 일방적으로 상임위원장을 뽑는 것은 제헌 국회 이후 처음으로, 헌정사에 남는 오점이자 폭거가 될 것”이라며 비판했다.

김성원 미래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가 12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야당과 합의 없이 상임위원장 배분을 밀어붙인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김성원 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는 통합당을 대표해 본회의 의사진행발언에서 "민주당을 지지한 49.9% 국민이나 통합당을 지지한 41.5%(이상 제21대 총선 지역구 득표율)의 국민 모두를 무시한 행동이 이 국회에서 벌어질 위기에 처했다"고 말했다.

김 부대표는 "의장이나 다수당이 됐다고 해서 41.5%가 지지한 제1야당의 의견을 무시하고 승자독식으로 국회를 독단으로 운영하게 되면 국회가 국론분열의 장이 되고 협치의 배는 가라앉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야당을 무시한 채 상임위원장 선출을 단독 처리한다고 하면 우리 통합당은 앞으로 국회 의사일정에 전혀 동참할 수 없음을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박병석 국회의장은 결국 사흘간에 여야 합의 기간을 더 준다며 이날 본회의에서 상임위원장 선출을 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