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석 국회의장 "여야 사흘 시간 준다"
이날 김영진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통합당이 이 같은 가합의안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통합당에 제안한 가합의안에는 예결위 외에 정무위·국토교통위·문화체육관광위·농림수산축산식품위·환경노동위 등 핵심 자리였다.
그러나 통합당은 의원 총회를 열고 민주당의 가합의 안에 대해 “법사위가 아니면 안 된다”며 거부했다.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가합의안은 민주당이 내놓는 안을 뛰어넘는 최대 양보안이었고, 모든 노른자위를 양보한건데 통합당이 의총에서 거부한 것”이라며 “이는 총선의 민의를 무시하고 코로나 위기 극복을 열망하는 국민의 요구를 거부하는 구태정치”라고 지적했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이에 대해 “처음부터 법사위를 민주당이 강제적으로 가져가겠다는 것은 협상이 아니라 협박”이라면서 “야당과 합의없이 일방적으로 상임위원장을 뽑는 것은 제헌 국회 이후 처음으로, 헌정사에 남는 오점이자 폭거가 될 것”이라며 비판했다.
김성원 미래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가 12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야당과 합의 없이 상임위원장 배분을 밀어붙인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김성원 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는 통합당을 대표해 본회의 의사진행발언에서 "민주당을 지지한 49.9% 국민이나 통합당을 지지한 41.5%(이상 제21대 총선 지역구 득표율)의 국민 모두를 무시한 행동이 이 국회에서 벌어질 위기에 처했다"고 말했다.
김 부대표는 "의장이나 다수당이 됐다고 해서 41.5%가 지지한 제1야당의 의견을 무시하고 승자독식으로 국회를 독단으로 운영하게 되면 국회가 국론분열의 장이 되고 협치의 배는 가라앉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야당을 무시한 채 상임위원장 선출을 단독 처리한다고 하면 우리 통합당은 앞으로 국회 의사일정에 전혀 동참할 수 없음을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박병석 국회의장은 결국 사흘간에 여야 합의 기간을 더 준다며 이날 본회의에서 상임위원장 선출을 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 여야, 21대 시작 전 상임위 두고 갈등 '법사위' 주인 누가 되나
- 양보없는 여야 '법사위' 쟁탈전, 3차 추가경정예산안 '뒷전'?
- 여야, 잇단 원구성 협상 실패 ‘법사위’두고 옥신각신
- 與, 12일 상임위 단독 구성 압박...현실성은?
- 與, 법사위 기능 축소안 통합당 협조는 '글쎄?'
- 통합당, 與 '법사위 사수'에 연일 비판
- 장제원 의원 "민주당 법사위 주고 산자위 가져와야"
- 176석 거대여당, 국회 6개 상임위 '꿀꺽'... 협치없는 독재정치에 통합당, 방도있나
- 국회, 與 단독 상임위 선출에 '냉각 상태'
- 주호영 ‘복귀’에도 與와 협상 無...박병석 의장 나설까?
- 여야 원구성 결렬, '법사위 나누기'로 옥신각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