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오후 종로의 한 카페에서 서울시청에서 근무하던 한 관계자가 기자와의 만남에서 한 말이다.
기자는 이 말을 들었을 때 충격을 금치 못했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시에 ‘성평등위원회’를 설치하고 더불어민주당 남성 정치인들 중에서 여성 지지자가 많은 편에 속하는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박 시장은 과거 ‘여성인권 변호사’로서 많은 노력을 해온 인물이다. 그는 지난 1993년 ‘서울대 신 교수 성희롱 사건’ 공동 변호인으로 유죄 판결을 받아냈다. 이 사건은 서울대학교 화학과 조교인 우모씨가 신모 교수에게 성희롱을 당해 고발한 사건이다.
당시 피해자 측의 변호인단은 박 시장을 포함해 6명이었다. 6년이 지나 재판부는 신 교수에 대해 “피해자에게 500만 원을 지급하라”고 최종 판결했다. 박 시장은 이 공로로 1998년 한국여성단체연합의 제10회 '올해의 여성운동상'을 수상했다.
2011년 서울시장 첫 당선 이후 여성 친화적 정책을 펼쳤다. 2017년 1월 '서울시 여성리더와 함께 하는 신년회'에선 박 시장은 "여성다움이 '원순다움'"이라며 "여성 중심, 노동 중심의 세상을 만들겠다. 좋은 세상은 가장 고통 받는 사람들이 중심이 된 세상"이라고 밝혔다.
최근까지도 박 시장은 여성인권 향상을 위해 노력했다. 지난해 1월 성평등 문제 등에 관해 시장을 보좌하는 특별 직위로 '젠더특보'를 시장실 직속으로 신설했다.
같은 해 2월에는 '서울시 여성 리더 신년회'에 참석해 "많은 여성이 저항 주체로서 독립운동(3·1운동)에 참여했고 오늘날의 대한민국이 있게 됐다"며 그 정신은 1987년 민주화 운동, 2016∼2017년 촛불집회,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 미투 운동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가 여성이라는 약자를 위해 걸어온 행보는 부정할 수 없는 역사이자 사실이다. 박 시장의 노력이 있었기에 많은 약자들이 목소리를 내려했고, 갑을이라는 균형 잡히지 않은 대한민국 사회가 더 나아질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고인이 된 박 시장을 욕하고 비판하며 수많은 약자를 기만했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기자는 그를 비난하거나 옹호하고 싶지 않다.
다만 한 가지는 묻고 싶다. 그 동안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행보가 자신의 속내를 감추기 위한 기만이었는지를.
관련기사
- 박원순 ‘성추행 의혹’ 피해자 측 경찰·서울시 진상규명 요구
- 속보 박원순 서울시장 실종... 연락두절로 딸이 경찰에 신고
- 속보 박원순 시장, 미투 고소 당했다
- 속보 박원순 서울시장, 숨진 채 발견...타살 흔적 없는 듯
- [종합] 숨진 채 발견 된 박원순, '성추행 의혹' 공소권 없음... 사건 종결
- [취재파일] 박원순 서울시장 보도, 이렇게 이루어졌다
- “모든 분께 죄송하다...가족에 미안” 박원순 시장 유서 공개
- 8년 만에 모습 드러낸 박원순 아들, 병역비리 의혹에 "입 열까?"
- 與, 오거돈이어 박원순까지...‘성범죄 대응’ 늑장 대처 논란
- 경찰, '박원순 성추행' 의혹 보고 임순영 특보 소환 조사
- 法, 경찰 압색 영장 기각...朴 '성추행 은폐 논란' 수사 차질 빚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