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꼰대 마인드·관사 테크' 이종섭에 친일 행적 논란 박보균까지
인사검증팀, '윤석열 측근' 주진우 전 부장검사 중심 사정당국 공무원 파견받아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월 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선거대책위원회 쇄신 관련 입장 발표를 마친 후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월 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선거대책위원회 쇄신 관련 입장 발표를 마친 후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오혁진 기자 | 윤석열 정부 1기 내각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가 오늘 28일부터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를 시작으로 열린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은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와 김인철(교육부)·정호영(보건복지부)·한동훈(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모럴해저드 심각성을 지적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들 외에도 시대착오적 ‘꼰대 마인드’를 갖고 있다고 비판받는 이종섭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도 거센 비판이 예상된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는 한국무엽협회장과 대형로펌 '김앤장'의 고문 등으로 재직하며 43억 원이 넘는 돈을 받았다. 특히 김앤장 고문 활동으로 확인된 것은 베트남 기업·정치인들과의 간담회 등 4차례 활동이 전부인데 약 20억원의 고문료를 받았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한 후보자의 행보에 변호사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정호영 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당초 '출산은 애국', '3M 청진기' 등의 칼럼으로 부적절한 여성관을 갖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후 두 자녀의 경북대 의대 편입 과정에서의 '아빠 찬스' 논란, 아들의 병역 특례 의혹 등이 제기되면서 ‘제2의 조국’이라는 비판까지 받고 있다.
 
김인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경우, 가족 구성원 모두가 한미교육위원단이 운영하는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았다. 한국외대 총장 시절 학생들의 학부모 직업 등을 조사하려 했다가 무산됐다. 시민단체들은 김 후보자 개인의 부정과 비리, 고등교육 정책과 사학에 대한 인식의 부적정성, 교육의 공정성 담보 불가능, 교육현장 운영의 비민주성 등의 이유로 장관으로서 부적격임을 밝혀왔다.
 
김 후보자의 개인 비리로 거론된 항목들 가운데 법인회계에서 집행해야 하는 소송비 12억7000만원을 교비로 부당지출한 점을 들어 "전임 박철 총장이 이미 재임 중 12억원 소송비를 교비로 지출한 것에 대해 대법원에서 벌금 1000만원이 확정됐음에도 김인철 후보자가 동종 범죄를 또 저지른 것이어서 이 사안을 더욱 무겁게 볼 수밖에 없다"라고 비판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아들이 온라인 도박 관련 사업을 진행한 회사의 임원으로 근무했다는 논란이 있고,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는 차녀가 CJ제일제당에 재직하면서 연봉이 이례적으로 많이 인상됐다는 점 등이 문제로 언급됐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지명된 박보균 후보자도 문제다. 그는 지난 2014년 중앙일보 대기자 시절 한림대학교에서 열린 제1차 세계대전 100주년 세미나에서 세계를 지배했던 나라들은 우리나라와 달리 "법에 예외를 두지 않는다"고 밝혔다. 박 후보자는 "일본도 아시아를 지배해봤고 했기 때문에 일본 사람들도 보면 준법정신 좋은데 민족적인 교육도 있지만 세계를 경영해본 습관이다"라며 친일 논란을 자초했다.
 
친일적 역사관은 그가 쓴 칼럼 곳곳에서도 발견된다. 동일본대지진 직후 일본인들의 침착한 대응에 대해 칭찬하며, 한국을 향해서는 "호들갑에 익숙하다, 남 탓하기와 떼 법의 싸구려 사회 풍토가 득세했다"고 썼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 후보자도 예외는 아니다. 인사 청문 요청안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서울 송파구 잠실 아파트(15억4000만원), 경기 수원 영통구 아파트(7억9900만원) 등 2주택자로 신고했다. 이 후보자는 합동참모본부 차장 재임 시 서울 용산구 관사에 살면서 아파트 두 채를 모두 임대해 ‘관사 테크’ 특혜를 누렸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지금도 잠실 아파트를 5억8800만원에 전세를 줬다.

현재 인수위에서 인사검증팀은 10여명 규모인 것으로 전해진다. 특정 분과에 속하지 않고, 비서실 소속이다. 윤 당선인이 직접 챙긴다는 뜻이다.
 
검찰 출신 주진우 전 부장검사와 이원모 전 검사 등을 중심으로 행안부와 국세청, 경찰 등에서 파견된 공무원들이 인사검증을 맡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