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발사주 의혹 사건의 핵심 당사자로 지목돼 공수처에 사전구속영장이 청구된 손준성 검사(전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가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고발사주 의혹 사건의 핵심 당사자로 지목돼 공수처에 사전구속영장이 청구된 손준성 검사(전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가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오혁진 기자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고발사주 의혹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손준성 대구고검 인권보호관(전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을 재소환하면서 판사 사찰 문건에 대해서도 캐물을 것으로 보인다.
 
10일 법조계에 따르면 공수처는 이날 오전 10시쯤 손 검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비공개 소환 조사했다.
 
손 검사는 지난해 4월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 시절 소속 검사들에게 범여권 인사들에 대한 고발장 작성과 근거 자료 수집을 지시하고 국민의힘 김웅 의원을 통해 정치권에 고발을 사주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를 받는다.

공수처는 지난 2일 손 검사를 처음으로 불러 13시간 동안 강도 높은 조사를 벌였다. 하지만 의혹의 실마리인 텔레그램 메시지상 꼬리표 '손준성 보냄'과 관련한 사건 개입 진술을 확보하진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다음날인 3일 김웅 국민의힘 의원도 12시간가량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했지만 유의미한 진술과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

김 의원은 조사 관련 "(수사팀에서) 확보한 자료를 충분히 보여줬고, 저는 그 자료를 보면서 '기억은 맞다, 아니다' 정도의 이야기를 했다. 결정적인 건 없었다"며 이외는 언론 기사를 보여주며 의혹을 물어본 게 대부분이라고 주장했다.

공수처는 손 검사에 대한 2차 소환조사에서 지난 5일 대검 감찰부를 압수수색한 결과물을 토대로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공수처는 지난 9월 말 검찰이 사건을 이첩한 이후 대검 감찰부가 계속 진행해 왔던 이 사건 관련 감찰 내용을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수처는 손 검사를 상대로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를 둘러싼 이른바 '판사사찰 문건'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공수처가 윤 후보를 네 번째로 입건한 사건이다. 판사사찰 의혹은 윤 후보가 검찰총장으로 재직하던 지난해 2월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실이 주요 사건 담당 판사들의 출신과 주요 판결, 세평 등을 담은 문건을 작성했다는 게 골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