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은 목사 교단 내 자금 횡령 및 차명 부동산 취득 의혹 수사는 미지수
자금 세탁 도왔다는 측근 압수수색 없어
대전지검 “수사 내용은 비공개...알려드릴 수 없다”

▲ (좌)정충신(본명 권병연)과 정조은(본명 김지선). 사진=제보자
▲ (좌)정충신(본명 권병연)과 정조은(본명 김지선). 사진=제보자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기독교복음선교회 (이하 JMS)의 정명석 오른팔로 불리는 정조은(본명 김지선)을 포함한 관계자 6명에 대한 구속영장 심사가 금일 진행될 예정이다. 다만, 정조은의 자금 세탁을 도왔다는 의혹이 제기된 JMS 방송국 이사 정충신(본명 권병연)은 압수수색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정조은은 17일 오후 2시30분 대전지법에서 준강간 방조 등 혐의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받을 예정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된 정조은의 교단 내 자금 횡령 및 차명 부동산 취득 의혹에 관한 수사 진행과 관련해서는 여전히 미지수다.

현재 JMS의 방송국인 ‘명작 스튜디오’의 사내 이사이자 국장을 맡은 정충신은 10년 이상 정조은의 운전기사로 근무한 바 있어 JMS 내에서는 정조은의 최측근으로 분류된다.

정충신은 명작 스튜디오를 통해 정조은이 JMS 교단으로부터 부정 취득한 자금 세탁에 가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한 제보자에 따르면 JMS 뮤직비디오 ‘감동을 드리고 싶어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촬영비 명목으로 3억에 달하는 JMS 교단 돈이 명작 스튜디오로 흘러 들어갔다. 사실상 신도들이 낸 헌금이 정충신과 정조은에게 돌아간 셈이다.

특히 충분한 예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명작 스튜디오 직원들에게는 30~50만원의 급여를 지급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금액 중 상당 부분은 정조은의 의상비 명목으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다.

또 다른 제보자는 “명작 방송국 대표들은 다 바지사장이다. 뒤에서 기획하고 돈을 먹는 것은 정조은과 정충신”이라며 “특히 작년부터 올해 초까지 6개월간 허접한 인테리어를 했는데 여기에 들어간 돈이 약 10억”이라고 폭로했다.

그러면서 “정조은의 최고의 조력자이자 가장 많은 수혜를 본 사람이 명작 방송국장인 정충신”이라며 “정충신이 아직까지 조명되지 않고 있어 의외라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 사진=투데이코리아 DB
▲ 사진=투데이코리아 DB
또한 정조은은 지난해 자신이 목사로 있는 ‘주님의 흰돌교회’로 부동산을 팔아넘기려 시도했는데, 해당 부동산 역시 정충신 명의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정조은은 자신의 친동생 정대현(본명 김대현)과 정충신 명의의 부동산을 교회에 직접 판매할 수 없었기에 또 다른 자신의 측근인 주충익(본명 오충익)목사를 통해 흰돌교회에 판매하려다가 일부 교인의 반발로 인해 무산됐다는 증언이 쏟아졌다.

또한, 취재과정에서 정조은과 정충신은 일부 교인에게 “정명석에게 전달해주겠다”라는 명목으로 한 교인에게 현금 5억을 수령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관련 제보자는 “선생님(정명석)께 전해달라고 부탁하며 정충신에게 3억원, 정조은에게 2억원을 줬는데 그 돈이 결국 선생님께 가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헌금 전달을 부탁한 교인이 분당경찰서를 통해 고소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교주 정명석은 성 문제의 중심에 서 있고 2인자로 불리는 정조은은 돈 문제의 중심에 서 있는데 왜 정조은과 관련해서 사법당국이 교주의 성 문제만 조명하는 것인지 이해가되지 않는다”며 “정조은 범법행위의 핵심은 돈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해 17일 대전지검 공보실 관계자는 <투데이코리아>와 통화에서 “자세한 수사 내용은 비공개이기 때문에 알려드릴 수 없다”라고 일축했다.

한편, 정조은 구속영장 심사와 관련해 JMS 교단 측은 이날 “재판이 진행 중인 다른 사건의 주요 증인들이 될 수 있는 사람들에 대해, 또한 직접적 혐의가 아닌 방조 혐의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이와 같은 사례는 극히 찾아보기 어려운 일”이라며 “이것은 일관되게 선생님(정명석)의 무고함을 주장한 이들의 진술을 바꾸어 보겠다는 의도로 의심할 수 밖에 없다”고 공식 표명했다.

그러면서 “부당한 언론 보도에 그때그때 대응하지 않거나 그렇게 할 수 없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라며 “사전 대응의 경우는 언론의 특성상 의혹 제기에 필요한 단서를 수집하기 위해 취재, 질문, 인터뷰를 하기때문에 어떤 답을 해도 그들의 의혹을 완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